본문 바로가기
개인 공부/파이썬

[2일차] Do it! 첫 파이썬 :: 02. 파이썬 코딩의 기본 재료

by 잇포에듀 2020. 5. 23.
반응형

[Do it! 공부단 스터디 2일차]

Do it! 첫 파이썬 :: 02. 파이썬 코딩의 기본 재료

 

02. 파이썬 코딩의 기본 재료

 

02-1. PC, 모바일에서 코딩 준비하기

  • PC에서 코딩하기 : 엘리스 아카데미(https://academy.elice.io)에 접속한 후 회원 가입하고 로그인  ▶  'Do it! 첫 파이썬' 검색하여 과목 선택 ▶  <수강신청>클릭  ▶  <배우기> 클릭
  • 모바일 앱에서 코딩하기 : 앱 스토어나 플레이 스토어에서 '엘리스'를 검색해서 엘리스 앱 설치  ▶  엘리스 앱을 실행해 회원 가입후 로그인, 기관은 <Elice Academy>를, 모드는 <학생>을 선택  ▶ 'Do it! 첫 파이썬' 검색하여 과목 선택하고 <수강신청> 클릭  ▶  [수업 목록]에서 공부할 내용 선택하고 실습 문제 코딩하기

회원가입 완료. SNS 계정으로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완료하였다. 타이틀 배너에 반가운(?) 책이 나타났다^^//

이 과정(책)은 텍스트 코딩 입문자, 미래의 IT 인재(학생), 선생님, 학부모(컴퓨팅 사고력 교육에 관심 많은 선생님, 학부모)에게 잘 어울리는 초급 코스이다. 나 같은 사람(코딩 교육에 관심 많은 교사)에게 딱!

 

02-2. 파이썬, 자료를 보여 줘

  • 파이썬에서 출력을 할 때에는 print() 함수를 사용
  • 문자를 출력할 떼는 작은따옴표('')나 큰따옴표("")로 앞뒤를 감싸기
print('모니터에 출력할 내용')
print(3, 'Hello!')


02-3.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

  • 숫자로 이루어진 숫자형
  • 따옴표 속의 문자열 : 문자 앞 뒤를 큰따온표(" ")나 작은 따옴표(' ')로 감싸 주면 문자열로 이해
  • 순서가 있는 리스트 : 대괄호([ ])로 묶어서 표현하고, 리스트 안의 자료가 여러개이면 쉼표(,)로 구분
# 숫자형 예시
3  # 정수
3.14  # 소수점이 있는 실수

# 문자열 예시
'Hello!'
'3.14'  # 작은따옴표
"3.14"  # 큰따옴표

# 리스트 예시
[]  # 빈 리스트
['a']  # 리스트 안의 문자열
['a', 2, [1, 2]]  # 리스트 안에 리스트도 넣을 수 있어요

음.. 나이는 살짝(?) 낮췄다..ㅋ

02-4. 변덕을 부리는 변수

  • 숫자형, 문자열, 리스트 등의 자료를 변수에 담아 저장하면 변수 이름만 불러도 그 안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변수 사용하기 : 변수 이름을 지어서 적은 후 "="를 입력한 후 그 옆에 변수에 저장할 자료를 적어준다.
  • 변수 이름 짓기
    • 숫자, 알파벳, 한글, 언더스코어(_) 사용 가능
    • 첫 글자는 숫자 사용 금지
    • 숫자로만 구성된 변수 이름 금지
    • 파이썬 문법 예약어 사용 금지(for, while, if 등)
    • 빈칸과 연산자(+, -, % 등) 사용 금지 


02-5. 자료형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기

  • 연산할 때 사용하는 기호 + (더하기), - (빼기), * (곱하기), / (나누기)를 연산자라고 한다.
  • / (나누기 연산자), // (몫 연산자), % (나머지 연산자)
  • ** (제곱 연산자)
  • + (더하기)와 * (곱하기)를 이용하면 문자열을 이어 붙이거나, 반복할 수 있다.
# 문자열 더하고 곱하기
print('안녕' + '하세요')  # 문자열 더하기
print('안녕' * 3)  # 문자열 곱하기


02-6. 문자열·리스트 원소 ― 인덱스, 인덱싱, 슬라이싱

  • 인덱스 : 문자열과 리스트에서 원소의 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. 이 원소의 순서를 인덱스(index)라고 한다.
  • 인덱싱 : 인덱스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원소를 불러오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한다.
  • 인덱싱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원소도 바꿀 수 있다. 단, 이 방법은 문자열에서는 통하지 않는다.
    • 리스트[인덱스] = 바꿔 넣을 자료
  • 슬라이싱 : 문자열이나 리스트의 일부분을 싹둑! 발라서 가져오는 것을 슬라이싱(slicing)이라고 한다.
    • 대괄호 안에 가져올 원소의 시작인덱스:종료인덱스 형태로 적는다.
    • 종료 인덱스는 항상 가져올 인덱스보다 1 큰 값으로 적어야 한다. '미만'으로 이해하기 때문..
# 인덱싱 예시
'Ready'[1]  # 문자열 인덱싱, 'e'를 의미한다.
[1, 2, 3][2]  # 리스트 인덱싱, 3을 의미한다.
# 슬라이싱 예시
beta = [2, 4, 6, 8 10, 12, 14]
print([beta[2:5])  # [6, 8, 10]이 출력된다.

앗싸! 공부 완료!! 차근차근 따라하니 어렵지 않게 공부를 완료할 수 있었다.

반응형

댓글